엔진오일 교환과 점검은 차량 점검의 시작이자 끝입니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그만큼 중요하고 그만큼 기본이 되는 부분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차량 운행은 잘하시면서 엔지오일은 언제 교환하는지 헷갈려하시는 거 같아 정리해보았습니다.
엔진오일은 5~6,000km마다 교환해야 한다?
아닙니다. 정말 많은 분들이 알고 있고, 대부분에 정비소에서도 5~6,000km마다 교환하는 것을 추천하는 업체들도 많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아직 5,000km 이하에서 교환을 하고, 새 차일수록 교환주기가 짧고 중고차일 수록 길어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제조사에서도 엔진오일의 권장 주기는 10,000km ~20,000km입니다. 6개월이든 1년이든 기간도 아닙니다. 차량을 운행한 km에 따라 교환해야 하며, km가 길어질수록 엔진오일의 품질은 하락하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아서 교환주기를 짧게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급가속 급출발 등 운전스타일이 과격하신 분들은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일반적인 차량보다 짧게 갖는 것이 차량의 유지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신차는 1~3,000km 마다 엔진오일을 교환해야 한다?
아닙니다. 역시나 많은분들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이 얘기는 옛날 차량을 운행해왔던 분들께서 갖고 계시던 상식이었습니다. 예전에 나왔던 차량의 엔진과, 엔진오일의 경우 품질이 지금처럼 높지 않아서 신차의 경우 3,000km마다 교환하여야 한다는 말이 나왔었습니다. 그렇지만 지금은 엔진오일의 품질도 높아지고, 차량의 품질도 높아져서 예전처럼 새 차의 엔진오일을 1,000km~3,000km 같은 짧은 주기로 교환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엔진에서 나오는 쇳가루로 인해서 교환을 자주 해야 한다는 말도 오일필터가 걸러주기 때문에 쇳가루로 인해 엔진에 영향을 끼치는 일은 드물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매뉴얼에서 길들이기 후 첫 엔진오일 교환시기를 명시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매뉴얼을 꼭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